FJ Labs 밸류에이션 매트릭스

얼마 전에 FJ Labs에서 마켓플레이스 스타트업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매트릭스를 게시한 적이 있습니다. 수년 동안 기본 내부 프레임워크로 사용되어 왔지만, 과거에는 10~20%의 점유율을 가진 마켓플레이스에 국한되어 있었습니다. 하지만 지금은 주로 B2B 마켓플레이스에 투자하고 있으며, 일반적으로 3~5%의 참여율을 보이고 있습니다. 또한 이 프레임워크는 SAAS 비즈니스 및 전자상거래 비즈니스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.

또한 모금 대상과 모금 수익금에 대한 기대치가 충분히 명확하지 않았습니다. 투자자와 VC는 일반적으로 단계별로 전문화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단계에 맞는 VC와 이야기해야 합니다. 그 결과 매트릭스를 더 명확하고 대부분의 경우를 포괄할 수 있도록 다시 만들었습니다.

각 단계에서 예상되는 견인력을 다루기 위해 기준 지표로 총 상품 거래액(GMV)을 사용하던 것을 순 매출로 전환했습니다. 대부분의 SAAS 비즈니스는 마진이 90% 이상인 반면, 대부분의 마켓플레이스는 마진이 60~70%이고 이커머스 마진은 다양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, 이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서 견인력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.

또한, 약 18개월 내에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이동할 것이라는 암묵적인 성장 기대치가 있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

위의 범위는 중앙값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 특히 고가 요금제에는 많은 예외가 있습니다. 즉, 표준 편차가 다소 높다는 뜻입니다. 두 번째로 성공한 창업자는 훨씬 더 높은 밸류에이션으로 모금할 수 있습니다. 평균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는 종종 “한 단계를 건너뛰고” 시리즈 A를 시리즈 B처럼 보이게 하거나 시리즈 B를 시리즈 C처럼 보이게 할 수 있지만, 이는 대부분의 창업가에게 도움이 될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입니다.

참고로 원본 FJ Labs 마켓플레이스 매트릭스도 첨부합니다.